화가 강운(姜雲) 하면, 광활한 들판 위 불어오는 거센 바람 앞에 자신을 홀로 세워 자연을 마주하고 있는 모습이 떠오른다. ‘구름 작가’로 명성을 얻었을 때부터 최근까지 언제나 쉼 없이 작품의 변화를 스스로 독촉해왔다는 느낌 때문이다. ‘<밤으로부터>-<순수형태>-<순수형태-순환>-<空 위에 空>-<공기와 꿈>-<물 위를 긋다>-<바람소리 그리고 흔적>-<마음산책>’으로 이어 온 변화는 안주를 거부하는 작가 의지와 태도의 결과이다. ‘시상(視象)에서 심상(心狀)으로’ 구름이 지나간 자리를 마음으로 채우려 한 과정이 읽힌다.
강운은 철저한 자기 들여다보기를 통해 내면세계를 탐구하며 온전한 자신의 길을 정리하려 애써왔다. 그 과정에서 치유하지 못한 채 묻어두었던 상처가 돋아나는 아픔을 겪기도 하지만, 더는 감추지 않고 당당하게 내세워 부딪치기를 주저하지 않는다. 깊은 상처는 마음의 상흔으로 남기 마련이다. 마음에 박힌 상흔을 캔버스 위에 글로 적고, 그 위를 다양한 색으로 덮는 행위를 반복하는 것은 자기 치유의 과정이자 구도(求道)이다.
미술계의 편견이나 시장논리, 작가위상이나 현실 안위로부터 자신을 떨어뜨려 오직 자유롭고, 끝없는 자기 탐구와 변화에 몰입하는 강운의 스타일은 근작의 ‘마음산책’시리즈를 통해 더욱 강운다워졌다. ‘시각적 촉각’으로 전해지는 요철의 질감은 작가의 마음 깊숙이 켜켜이 쌓여있던 수많은 감정들이다. 언어로 표현하지 못한 숱한 감정의 알맹이들이 화면 가득 엉기고 웅웅거리듯 보는 이의 마음을 붙든다. 더불어 단색조의 거친 표면, 그 표면의 균열 사이사이를 비집고 나오는 바탕색(본질, 근원, 마음)은 고독하고, 슬프다. 그러다가 보는 각도와 시선에 따라 이내 메마름을 거둬내고, 촉촉하게 빛난다. 순간 아름답고 숭고하다는 느낌을 받는다. 오롯이 자연을 탐색하던 시상이 자기 성찰을 거치며 심상에서 발산되는 색의 결정체로 응집된 결과이다. <마음산책>의 힘이다. 강운다움으로 올곧게 자기 조형언어(색, 기법, 크기, 구성방식 등)를 고집해나가는 그의 예술세계는 지역성을 떠나 한국현대미술의 한 장르를 가늠해 볼 수 있는 미술로 거듭나고 있다.
I imagine myself being alone in a big field confronting nature with a strong wind blowing over it whenever I think about the artist Kang Un. It is because he has felt the need to alter his work consistently since first becoming well-known as a "cloud painter" up until the present. Through the works “From Night”, “Pure Form”, “Pure Form: Circulation”, “Emptiness beyond Emptiness,” “Air and Dream,” “Stroke on the Water,” “The Sound of Wind and Traces” and “A Walk through the Mind,” the artist has undergone a change as a result of his determination and attitude to not settle for anything less than perfection. One can interpret the process of attempting to mentally capture the space left behind by a cloud.
Kang Un has been trying to organize his own path by exploring the inner world through thorough self-reflection. Along the way, he has experienced pain from unhealed wounds resurfacing, but he no longer hides them and boldly confronts them without hesitation. Deep wounds are inevitably left as scars on the heart. The act of repeatedly writing these scars on the canvas and covering them with various colors is both a process of self-healing and a search for spiritual enlightenment.
Through his most recent series, "A Walk through the Mind," Kang Un's style, which involves immersing himself in endless self-exploration and change while releasing himself from the constraints of the art world, market logic, his status as an artist, and the consolation of reality, has become more recognizable as his own. The rough texture conveyed through “visual tactile sense” is the numerous emotions accumulated deep in the artist’s heart. The viewer's heart is captured by a number of emotional nuggets that are captured on the screen yet cannot be articulated in words. As well as being monotonous and rough, the ground color (essence, source, mind) that emerges from the surface's fissures is also lonely and depressing. Then, depending on the angle of observation and line of sight, it immediately eliminates the dryness and glows moistly. At this time, the viewer experiences beauty and sublimeness. It is the end result of the color crystals coming from the images condensing through self-reflection of the ideology that was solely focused on nature exploration. This is "Walk through the Mind's" strength. Without regard to location, Kang Un's artistic universe, which insists on his own formative language (color, technique, size, composition method, etc.), is reviving itself as a type of Korean contemporary art.
홍순명은 회화에서부터 입체, 설치, 판화, 미디어아트 등을 넘나들며 독창적인 실험 작업을 펼쳐온 작가이다. 지난 20년 동안 ‘부분과 전체’의 명제아래 동시대의 사건과 역사,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사이드스케이프(Sidescape)’ 라는 독창적 미학으로 심화하고 확장해 왔다. ‘부분과 전체’는 ‘사이드 스케이프’처럼 중심이 아닌 주변의 관점으로 중심과 주변의 관계를 전복시켜 보편적 미의 기준과 범위, 경계를 흔드는 홍순명 예술 미학의 핵심 개념이다.
‘지금 보고 있는 것, 그 진실의 경계는 어디인지’, 홍순명은 국내외 사회 정치적 사건의 현장을 담은 사진이나 현장 사물을 활용한 실험적 작업을 통해 과거와 현재, 미래에도 여전히 반복될 수 있는 진실의 불확실성에 관해 끝없이 질문한다. 그리고 그 해답을 얻고자 지배와 피지배, 겉과 속, 내부와 외부, 미와 추, 진실과 거짓 등 고정되고 고착된 대립적 관계를 해체하고 주변의 경치와 관점으로 끈질기게 파고든다.
회화의 경우 추상적이면서 독립적인 이미지〔부분〕의 캔버스를 수십, 수백 개 조합, 배치해 사회적 사건이나 역사적 재난을 암시하는 하나의 거대한 풍경〔전체〕을 펼쳐내며 중심과 주변의 관계를 뒤흔들어 우리의 인식을 재편집한다. 때로는 거대한 자연재해 혹은 인재(人災)의 현장마저 ‘어떤 지점’을 미적으로 바라보려는 인간(자신)의 이중성을 밝히고, 동시에 지금 보고 있는 실체적 진위의 재발견을 유도한다.
입체 또한 같은 맥락이다. 의미와 무의미의 경계, 진실의 실체는 결국 인식과 관점의 차이에서 새로운 층위가 만들어질 수 있음을 독창적 ‘랩(wrap) 포장’으로 위장(僞裝)한 대상을 통해 보여준다. 어떤 사물에 투명한 비닐이 겹쳐질수록 실체는 불투명해지고, 부분과 전체의 경계도 불확실하고 모호해진다. 궁극에 포장된 대상은 오브제의 출처와 관련된 의미와 함께 은폐된 실체가 무엇인지 의심하게 만든다.
지금까지 ‘사이드스케이프’, ‘메모리스케이프’, ‘사소한 기념비’, ‘장밋빛 인생’ 등 여러 주제의 전시에서 홍순명이 일관되게 강조한 것은 뚜렷하다. ‘부분과 전체, 중심에서 주변으로 시선의 확장과 믿음의 전복을 통한 새로운 가치발견’이다. 홍순명의 작품세계가 쌓아온 힘이다. 홍순명이 주목하는 시선의 가치와 의미를 좇아가며 그가 말하는 진실에 귀 기울이게 되는 이유이다.
Artist Hong Soun has created unique, experimental work that transitions from painting to three-dimensional, installation, screen print, and media art. His distinctive style known as "Sidescape" has been used for the past 20 years to deepen and expand on current events, history, and the interaction between nature and humanity under the tenet of "Part and Whole." This is the central idea of Hong's aesthetics, which challenges the definition, scope, and limits of universal beauty by rever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enter and the peripheral by viewing things from the periphery rather than the center, as in "Sidescape."
Where is the limit of the truth in what we are currently witnessing? Through experimental work employing images of local and global socio-political events and items in the field, Hong Soun investigates the ambiguity of truth that can still be repeated in the past, present, and future. He dismantles fixed and static antagonistic relationships such as dominance and subjection, the outside and the inside, beauty and ugliness, truth and lies, and continuously probes the context and viewpoint in search of the solution.
In the case of painting, a vast landscape (whole) that suggests social events or historical disasters is unfolded by combining and arranging dozens or hundreds of canvases of abstract and independent images (parts), upe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enter and the periphery and redefining perception. Even the scene of a significant natural disaster or man-made disaster can occasionally show the conflict between people's attempts to look artistically at "a specific point" and their subsequent realization of the substantial authenticity of what they are seeing.
The same context also applies to three-dimensional art. The line dividing sense from nonsense, the reality of truth, demonstrates how a new layer might eventually be formed from a difference in perception and viewpoint through an item covered in an original "wrapping" method using transparent plastic wrap. The more transparent vinyl is overlaid on an object, the opaquer the material gets, making it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 the part and the whole. In the end, the wrapped object raises questions about the hidden reality and the significance of the thing's origin.
In previous thematic exhibitions like "Sidescape," "Memoriscape," "Ordinary Monument," and "La Vie en Rose," Hong has consistently focused on one thing. It is "the subversion of belief and the discovery of new values between the part and the whole, the expansion of the gaze from the center to the periphery." This is the level of influence Hong's art world has reached. That is why we seek out the worth and significance of his attention and pay attention to the words of truth he delivers.
호반문화재단 · 광주광역시 서구 상무대로 943, 5층 (쌍촌동). COPYRIGHT © 2023 HOBAN ALL RIGHTS RESERVED.